WEB/WAS 소프트웨어인 Jeus와 webtoB 환경에서 실습하였으며, 실습하면서 자주 사용한 리눅스 명령어와 vi 에디터 단축키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순서는 내맘대로식으로 정리하였으며, 더 많은 옵션과 쓰임새가 있을 수 있습니다.
[리눅스 명령어]
1. cd :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터리를 변경하는 명령어
cd [경로] : 해당 경로로 디렉터리를 이동
cd - : 최근 명령어 이전의 경로로 돌아가기
cd .. : 1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2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3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개수만큼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root 경로로 이동
2. ls : 해당 디렉터리에 포함된 파일, 디렉터리를 출력하는 명령어
ls -all : 숨겨진 파일, 디렉터리까지 모두 표시
ls -ltr : 편집된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
ll(ls -l) : 권한, 소유자, 갱신일을 확인
3. su : 계정을 바꿀 때 사용하는 명령어
su - [계정 이름] :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
4. netstat : 네트워크 접속,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계 정보 보여줌
netstat [옵션] | [grep 포트번호 or 서비스명]
<option>
-a : 모두
-r : 라우팅 테이블
-s : 네트워크 통계
-l : 연결 가능한 상태
-n : 포트 넘버
5. sh : shell 관련된 파일, 실행 퍼미션이 없지만 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
. [파일명] 과 같은 명령을 수행
6. chmod : 권한 부여하는 명령어
d/rwx/rwx/rwx (d: 디렉터리, - : 파일)
rwx(읽기 쓰기 실행)를 2진수 3bit로 생각하여 권한 부여 가능
ex)chmod 775 * -> -rwxrwxr-x
7.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 확인하기
가상머신에 할당된 ip주소 확인할 때 (특히 putty와 네트워크 연결할 때)
8. ping : 해당 ip 주소로 ping이 가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ping [ip주소]
9. ps :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webtoB에서 사용한 시스템 프로세스 출력 명령어
ps -ef | grep [wsm, hth, htl]
wsm : 시스템 운용 프로세스
hth : 핸들러 프로세스
htl : 리스너 프로세스
10. rm : 파일, 디렉터리 지우기
rm [파일명] : 해당 파일을 지움(디렉터리는 이 명령어로 지우지 못함)
rm -rf [디렉터리명] : 해당 디렉터리를 삭제(강제로)
11. cp : 파일 복사
cp [복사할파일명] [복사될 파일명]
12. touch : 빈 파일 생성
13. mv : 이동하는 것
mv [파일명] [목적지 경로] : 파일을 해당 목적지 경로로 이동
14. pwd : 해당 파일 경로를 출력
15. tail : 로그나 오류를 보고 싶을 경우 사용합니다.
tail [옵션] [파일명]
tail -f [파일명] : 하위 10줄을 실시간으로 출력
16. mkdir : 디렉터리를 만드는 명령어
mkdir [디렉터리명] : 해당 디렉터리를 만드는 명령어
[vi 에디터]
1. dd : 읽기 모드에서 1줄 지우기
2. u : 읽기 모드에서 실행 취소
3. a : 편집 모드 중 다음 칸부터 편집
4. i : 편집 모드 중 현재 위치한 칸부터 편집
5. . : 최근 명령을 수행
6. gg : 가장 상위 라인으로 이동
7. [번호] : 번호에 해당하는 라인으로 이동
8. yy : 커서 있는 줄 복사
[번호]yy : 현재 줄부터 번호만큼 줄 수를 복사
9. p : yy로 복사한 라인 붙여 넣기
10. $ : 해당 라인의 맨 뒤로 이동
11. ( : 해당 라인의 맨 앞으로 이동
'IT > Middle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us] 도메인(Domain) 설정 (0) | 2021.07.03 |
---|---|
[Jeus] webadmin 페이지 접속 (0) | 2021.07.03 |
[Jeus] 제우스 구성 요소 기동 및 종료, 팁 (0) | 2021.07.03 |
[Jeus] 구성요소 (0) | 2021.07.03 |
[webtoB] .bash_profile 수정 문제 (0) | 2021.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