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우스5 [Jeus] 핫디플로이테스트 핫디플로이테스트의 의미는 jsp 파일을 수정하면 바로 반영이 되지만, class 파일 자체 수정을 하게 되면 서버를 재기동하고, class를 load 시키는 과정을 따라야 합니다. 핫디플로이는 재기동하는 과정을 따르지 않고,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만드는 설정입니다. Jeus 핫디플로이는 개발 단계에서만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운영단계에서 사용하다가 서버스가 멈추는 등의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단계에서는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지금은 테스트 단계라서 큰 문제가 없지만, 실제 서비스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1. Jeus 설치할 때 모드를 확인합니다. 처음 Jeus를 설치할 때 production mode로 설치하였는데 이를 development mode로 변.. 2021. 7. 7. [Jeus] 동적파일(jsp) url 접속시 Jeus로 처리 동적 파일 jsp를 IP주소:Port번호로 접속하지 말고 url로 접속하는 방법 동적 파일 : test.jsp, test2.jsp http://www.tmaxsoft.co.kr/jsp 접속 시 server1에서 처리 http://www.tmaxsoft.co.kr/ 접속 시 server2 에서 처리 1. windows 내의 hosts 파일 수정 C:\Windows\System32\drivers\etc에 hosts 파일 수정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수정해야함 맨 아래 부분에 [IP주소] www.tmaxsoft.co.kr 2. webtoB에서 설정 http.m 환경설정 파일 수정 wscfl -i http.m으로 컴파일 웹서버 재기동 : wsdown > wsboot 3. 제우스 설정 directory.. 2021. 7. 6. [Jeus] webadmin 페이지 접속 webadmin은 제우스의 모든 요소들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과 시스템 관리를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관리자 및 운영자는 webadmin으로 제우스의 구성요소들을 상태를 체크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webadmin을 실행하려면 우선 DAS를 콘솔에서 먼저 기동 해야 합니다. 기동 하지 않은 상태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webadmin에서 MS(서버)를 켜려면 노드 매니저가 먼저 기동 되어야 합니다. java 기반의 노드 매니저가 작동하면 MS를 끄고 킬 수 있습니다. 접속이 불가능하다면 첫 번째로 IP주소와 포트번호를 확인해야합니다. 리눅스에서 IP주소와 포트번호를 확인하려면 ifconfig 명령어를 통해 확인하여 기입하면 됩니다. 두 번째로 DAS가 기동 되었는지 jps로 확인해야 합니다. 2021. 7. 3. [Jeus] 제우스 구성 요소 기동 및 종료, 팁 이전 포스팅 중 제우스의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우스의 구성 요소인 DAS, MS, 노드 매니저 등을 기동 하는 방법과 종료하는 명령어 그리고 팁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DAS 기동 DAS가 기동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DAS를 기동 하겠습니다. webadmin에 접속하기 위해서 DAS를 먼저 기동해야 합니다. webadmin은 제우스를 콘솔 창이 아닌 페이지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startDomainAdminServer -domain [도메인명] -server [서버명] -u [관리자 ID] -p [관리자 PW]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설치된 제우스 정보, 라이센스, 로그 등이 표시되면서 DAS가 기동 됩니다. DAS를 기동 하기 전 기동이 되어 있는지 우선 확인해보겠습니다. jps 명.. 2021. 7. 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