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방송/IT/엔지니어링 스터디 로그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1

[webtoB] 정적파일(html) url 접속시 webtoB로 처리 정적파일인 test.html을 만들어서 webtoB에 deploy를 하는데 이를 IP:Port# 으로 호출하지 말고 url로 호출하는 방법 http://www.tmaxsoft.co.kr/img 접속 시 WebtoB 에서 처리 정적파일 : test.html 1. windows 내의 hosts 파일 수정 C:\Windows\System32\drivers\etc 에 hosts 파일 수정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수정해야함 맨 아래 부분에 [IP주소] www.tmaxsoft.co.kr 2. webtob에서 http.m 환경설정 파일을 수정 *DOMAIN webtob1 *NODE tmax01 WEBTOBDIR="/home/webtob/webtob5002", SHMKEY = 54000, DOCROOT="/.. 2021. 7. 6.
[Jeus] Database 연동 webadmin > resource > datasource > lock&edit > add > basic datasourceid export name vendor->Database Template : oracle/orcaleConnectionPoolDataSourcethin? data source class name data source type server name port number : 1521 database name user password : plain 선택 재기동 command탭에서 test 클릭 webadmin > resource > datasource > lock&edit > connection pool min max step period enable wait wait time das까지.. 2021. 7. 4.
[Jeus] MS(Managed Server) 설정 MS 설정 MS 추가 왼쪽 servers 클릭 -> lock & edit -> servers 메뉴에 ADD+ 클릭->필수항목인 name 설정-> 서버 클릭 후 리소스 클릭->리스너에서 BASE 누르고 리스너포트 설정후 확인 -> listen address도 내 ip주소로 바꿈 ->액티브 체인지 -> dsdown->dsboot 리스너 추가 만든 서버 클릭 -> 리소스 탭 누름 -> ADD 클릭-> 필수항목인 name과 listen address에 real IP입력 -> 리슨포트에 포트넘버 입력 엔진 탭 클릭 -> http 회색 버튼 클릭 -> name, server listener ref에 이름 설정 2021. 7. 3.
[Jeus] 도메인(Domain) 설정 동적 변경 사항이 아니면 기본적으로 해당 MS를 재기동해야 합니다. 도메인이나 세션 등의 크리티컬한 설정을 변경하면 DAS까지 재기동해야 합니다. 로그 디렉터리 설정 1. 왼쪽 바에서 Domain을 클릭합니다. 2. Basic 태그에서 Domain Log Home에서 로그 디렉터리를 설정합니다. -기본적 로그 쌓이는 위치 시스템 클러스터링 프레임워크 Basic 태그에서 System Clustering Framework 부분에서 Virtual Multicast도 체크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백업 설정 onboot->directory ->logs basic 탭에서 고급 선택사항 -> Backup On Boot 체크 -> Backup Dir에서 백업 파일을 저장할 directory 설정 dsa 모드로 .. 2021. 7. 3.
[Jeus] webadmin 페이지 접속 webadmin은 제우스의 모든 요소들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과 시스템 관리를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관리자 및 운영자는 webadmin으로 제우스의 구성요소들을 상태를 체크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webadmin을 실행하려면 우선 DAS를 콘솔에서 먼저 기동 해야 합니다. 기동 하지 않은 상태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webadmin에서 MS(서버)를 켜려면 노드 매니저가 먼저 기동 되어야 합니다. java 기반의 노드 매니저가 작동하면 MS를 끄고 킬 수 있습니다. 접속이 불가능하다면 첫 번째로 IP주소와 포트번호를 확인해야합니다. 리눅스에서 IP주소와 포트번호를 확인하려면 ifconfig 명령어를 통해 확인하여 기입하면 됩니다. 두 번째로 DAS가 기동 되었는지 jps로 확인해야 합니다. 2021. 7. 3.
[Jeus] 제우스 구성 요소 기동 및 종료, 팁 이전 포스팅 중 제우스의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우스의 구성 요소인 DAS, MS, 노드 매니저 등을 기동 하는 방법과 종료하는 명령어 그리고 팁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DAS 기동 DAS가 기동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DAS를 기동 하겠습니다. webadmin에 접속하기 위해서 DAS를 먼저 기동해야 합니다. webadmin은 제우스를 콘솔 창이 아닌 페이지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startDomainAdminServer -domain [도메인명] -server [서버명] -u [관리자 ID] -p [관리자 PW]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설치된 제우스 정보, 라이센스, 로그 등이 표시되면서 DAS가 기동 됩니다. DAS를 기동 하기 전 기동이 되어 있는지 우선 확인해보겠습니다. jps 명.. 2021.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