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41 [Jeus] 구성요소 제우스8 버전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이를 제우스라고 하겠습니다. 제우스는 도메인(Domain) 구조로 가볍고 빠른 분산형 클러스터링을 구성하여 대규모 컴퓨팅 환경을 지원합니다. 도메인 도메인은 제우스가 컨트롤하는 최상위 구조이며, 1개 이상의 도메인이 제우스에 속합니다. 1개의 도메인 당 1개의 DAS(Domain Administrator Service)과 여러 개의 MS(Managed Service)를 갖고 있습니다. 제우스는 1개의 장비 즉, 1개의 VM(1개의 리눅스)당 1개의 제우스(JEUS_HOME), 1개의 제우스(JEUS_HOME) 당 1개의 도메인을 구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개의 도메인 내에서만 보안 설정, 애플리케이션과 리소스가 공유되기 때문입니다. DAS(Domain Admini.. 2021. 7. 3. [webtoB] .bash_profile 수정 문제 ※alias 설정 시 = 양쪽으로 스페이스바 빼고, 1 왼쪽에 있는 키 ` 가 아닌 작은따옴표 '로 편집할 것. ※alias 설정 잘못 시 해당 계정 먹통 -> 루트 계정으로 접속하여 원래 .bash_profile 복원하여 다시 편집할 것. ※cp를 이용한 백업이 중요함. 2021. 7. 1. [Linux]Jeus, webtoB에서 사용한 리눅스, vi 에디터 명령어, 단축키 정리 WEB/WAS 소프트웨어인 Jeus와 webtoB 환경에서 실습하였으며, 실습하면서 자주 사용한 리눅스 명령어와 vi 에디터 단축키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순서는 내맘대로식으로 정리하였으며, 더 많은 옵션과 쓰임새가 있을 수 있습니다. [리눅스 명령어] 1. cd :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터리를 변경하는 명령어 cd [경로] : 해당 경로로 디렉터리를 이동 cd - : 최근 명령어 이전의 경로로 돌아가기 cd .. : 1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2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3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개수만큼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root 경로로 이동 2. ls : 해당 디렉터리에 포함된 파일, 디렉터리를 출력하는 명령어 ls -.. 2021. 6. 30. [Cloud]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 오브젝트(Object)-Replicaset, Deployment Kubernetes의 기본 관리 단위인 Pod의 상위 Object를 알아보겠습니다. Replicaset Replicaset은 설정된 개수만큼 Pod를 생성하고 유지하는 Controller 객체입니다. Replicaset에 설정된 내용에 따라 똑같은 설정을 가진 Pod를 생성합니다. 생성이지만, 복제의 개념의 생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떠한 이유로 Replicaset으로 생성된 Pod가 삭제된다면, 설정한 개수만큼 다시 생성시키는 self-healing기능을 수행합니다. Application을 실행 중인 컨테이너를 복제하면 고장이 발생하거나 부하가 가중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장애 대비용으로 역할을 하는 Object입니다. 최근에는 Deployment가 유용하게 사용되어 Replicaset은.. 2021. 6. 27. [Cloud]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 오브젝트(Object)-Namespace, Pod Kubernetes Object 개요 kubernetes는 Object를 갖는데 k8s 시스템에서 영속성을 갖는 개체입니다. Kubernetes의 api를 통해 생성되며 api 요청 시 JSON 형식으로 정보를 전달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JSON 형식의 정보 전달을 위해 .yaml 확장자 형식의 파일로 정의합니다. yaml 형식으로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필드에는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apiVersion : Object 생성을 위한 k8s의 api 버전을 말합니다. kind : Object의 종류를 표시합니다. metadata : 이름, 문자열 ID, Namespace 등을 기입합니다. spec : Object의 할당할 리소스나 상태, 조건을 정의하고, Object의 종류마다 형식이 다르고 중첩된 .. 2021. 6. 24. [Cloud]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 구성 요소 쿠버네티스의 구성 요소에는 전반적인 결정을 수행하고, 이벤트 감지와 반응을 하는 'Control Plane Component'과 동작 중인 Pod를 유지하고, 런타임 환경을 제공하는 'Node Component', 그리고 k8s의 자원을 활용하여 클러스터 기능을 구현하는 'Add-On Component'가 있습니다. 이들에 대해서 각각 세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Control Plane Component(Master Node Component) kube-apiserver : Control Plane Component와 Node Component 간의 요청을 처리하며, 클러스터로 요청이 왔을 때 그 요청이 유효한지 검증합니다. 그리고 쿠버네티스로의 모든 요청은 apiserver를 통해 다른 곳으로 전달.. 2021. 6. 24. 이전 1 ··· 3 4 5 6 7 다음 반응형